Post

2장.구글 애널리틱스 시작 준비하기

2.1 구글 애널리틱스의 데이터 수집 원리

  • GA는 일종의 로그 분석 도구
  • 수집기를 이용해 데이터가 수집되면 이 데이터는 GA로 전송되어 저장.

원리

  1. 웹 사이트의 모든 페이지에 수집기(추적 코드)가 설치됩니다.
    • 추적 코드: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스크립트 코드로, 데이터를 수집하려는 모든 웹 페이지에 추적 코드가 삽입되어야 합니다.
    • 삽입된 추적 코드는 다양한 정보를 GA로 전송.
  2. 수집된 데이터가 GA로 전송됩니다.
  3. 데이터가 GA에 저장됩니다.

alt text

GA 추적 코드 삽입.

🔖 추적 코드의 형태

  1. gtag.js
    • 웹 페이지에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자바스크립트
    • 수동 태깅이 필요한 경우나 소규모 웹 사이트에서 주로 이용.
    • [관리>속성>추적정보>추적코드>property>tracking info>tracking code]에서 확인할 수 있음.

    alt text

  2. GTM 스니펫
    • 대규모 사이트에서 태깅할 때 주로 이용
    • GA에서 확인할 수 없고, 구글 태그 매니저에서 확인할 수 있음.

    alt text

🔖 head 영역에 추적 코드 삽입하기

  • 두 추적 코드 모두 웹 페이지 HTML의 head나 body 영역에서 가장 위쪽에 삽입하기를 추천.
    • 웹 페이지는 가장 상단부터 HTML 코드가 로딩되는데, 로딩 중간에 작동이 안 되거나 데이터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려는 목적.

alt text

2.2 GA 계정 만들기

❗ 교재 p.53 ~ p.59를 참고해 직접 실습해보길 바랍니다.
❗ UA 활성화 옵션을 제공하지 않으니 GA4 속성만 생성하시면 됩니다.

2.3 실습 환경 만들기

  • GA 계정을 만들고 추적 코드를 삽입하면 추적 코드를 통해 데이터가 GA로 전송됩니다.
    하지만!!

  • 이런 환경을 갖추지 못했을 것이니 실습을 위한 추적 코드가 웹 사이트에 삽입되어 있는 Google 애널리틱스 데모 계정을 사용합시다.

    • 구글 머천다이즈 스토어 웹 데이터(구글 기념품 판매)
    • 캐주얼 게임 플러드잇 앱 데이터

🔖 구글 데모 계정 추가

UA?

  • 2024년 7월 1일부터는 모든 고객이 UA 인터페이스 및 API에 엑세스할 수 없고, UA에 쌓여있는 모든 데이터가 삭제된다고 합니다. 2023년 7월에 UA 속성이 지원 종료될 때는 완전히 종료하기까지 몇 주가 걸렸으나 이번에는 일주일 안에 완전히 UA를 종료할 예정이라고 합니다.
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.0 by the author.

Trending Tag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