3장.구글 애널리틱스의 주요 개념
3장.구글 애널리틱스의 주요 개념
3.1 계정, 속성, 보기: GA의 데이터 관리 구조
- 계정: 상위 개념 / 속성 및 앱: 하위 개념 / 보기: 최하위 개념
GA 계정: 어카운트트
- 계정: GA 어카운트
- 계정을 새로 만들 수 있음.
- 권한이 있다면 이미 만들어진 다른 계정을 추가할 수도 있음.
속성: 원천 데이터베이스
- 속성 및 앱: GA 계정의 하위 개념으로 GA 데이터가 실제로 저장되는 공간(원천 데이터 베이스)
- 웹 사이트 또는 앱에서 데이터를 수집하면 속성에 저장됨.
보기: 분석가가 보는 데이터베이스
- 보기: 속성의 데이터를 분석가가 미리 정해 놓은 형태로 정리해서 보여줌(데이터를 저장하는 최종 단위)
암묵적 규칙: 3개의 보기
보기 이름 | 목적 | GA에서 부르는 다른 이름 |
---|---|---|
1 Master View | 실제 GA 운영 및 분석을 위한 보기 | 마스터 보기 |
2 Test View | GA 테스트를 위한 보기 | 테스트 보기 |
3 Raw Data View | 원천 데이터를 그대로 보기 | 로우 데이터 보기 |
❗GA4 스탠다드 버전에서는 보기가 없으므로 앞서와 같은 종류의 보기를 생성하려면 속성 수준에서 생성해야 한다.
❗GA의 모든 데이터는 수집 시점부터 저장되기 시작합니다. 과거의 데이터는 저장할 수 없으니 유의해야 합니다.
UA와 GA4 비교
- GA4 스탠다드 버전에서는 UA에서 있는 보기가 존재x
=> 따라서, UA의 보기에 해당하는 보조 속성이 최근에 생김. => 일종의 기능 제약
🔖 계정 구조 비교
구분 | UA(GA3) | GA4 | 비고 |
---|---|---|---|
계정 구조 | 계정 > 속성 > 보기 | 계정 > 속성 | GA4 360는 UA 보기에 해당하는 보조 속성이 있습니다. |
3.2 사용자와 세션 그리고 페이지 뷰와 이벤트: GA 분석을 위한 기본 요소
- 보기: 웹/앱 로그 데이터를 저장함.
- 트래픽: 웹/앱을 방문하는 사용자들이 주고받는 로그 데이터의 양
- 세션: 데이터를 세는 단위(상위 개념으로 사용자/하위 개념으로 이벤트)
- UID: 식별 아이디
사용자와 세션: 사용자를 세는 단위
- 사용자를 구분 할 수 있는 단위 필요!
=> 사용자(상위)와 세션(하위)
=> GA가 사용자가 웹 사이트에 접속할 때 접속에 대한 식별 기준 부여
🔖 사용자
- 유저(사용자): 식별된 개인 (여러 개의 세션을 가질 수 있음)
- 어떻게 식별하나?
- PC나 스마트폰 등 기기에 대해 쿠키를 기반으로 한 클라이언트 ID(CID)라는 것을 부여하고 개인으로 식별
- 개인은 유저 ID(UID)나 구글 시그널을 기반으로 식별할 수도 있음.
🔖 세션
- 세션: 사용자가 사이트에서 취한 행동의 집합
- 특징
- GA는 세션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데이터를 수집.
- 세션 발생 -> 누군가 웹 사이트를 방문했다는 것(최소 1개의 페이지 뷰가 발생했다는 의미)
- 여러 개의 페이지 뷰와 이벤트를 가짐(사용자의 행동 집합을 이룸)
- GA는 자정이 지나거나, 사용자가 30분 동안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으면 세션 종료(그 뒤 새 행동을 하면 새로운 세션 시작)
- 한 사용자는 여러 세션을 가질 수 있음
🔖 사용자와 세션
구분 | 성격 | 설명 | 식별 수단 |
---|---|---|---|
사용자 | 불변성 | 쿠키, 유저 ID, 구글 시그널 등을 기반으로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위 | 쿠키, 유저 ID, 구글 시그널 |
세션 | 임시성 | 사용자가 갖는 웹 사이트 접속의 단위. GA에서는 30분 동안 행동이 없으면 세션을 초기화함. | 세션 아이디 |
페이지 뷰와 이벤트
- 페이지 뷰: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얼마나 보았는지를 의미
- 이벤트: 사용자가 웹 페이지에서 어떤 행동을 얼마나 했는지를 의미
❗GA4에서는 페이지 뷰 또한 하나의 이벤트로 취급.
UA와 GA4 비교
구분 | UA(GA 360) | GA4 |
---|---|---|
이벤트 성격 | 세션을 기본으로 하는 이벤트 | 순수 이벤트 기반 이벤트 |
이벤트 구조 | 이벤트(카테고리-액션-라벨) | 이벤트 > 매개변수 |
자동 수집 이벤트 | 자동 수집 이벤트 없음 | 웹/앱 관련 자동 수집 이벤트 존재 |
이벤트 개수 제한 | 없음 | 500개 |
🔖 UA
- 카테고리: 액션의 분류를 나타냄(ex. 버튼)
- 액션: 상호 작용과 행동을 나타냄(ex. 클릭)
- 라벨: 행동에 대한 정보를 나타냄(ex. TV)
=> 미리 정의되어 있음.
🔖 GA4
- 이벤트의 ‘카테고리, 액션, 라벨’ 구조가 사라지고, ‘이벤트 > 매개변수’ 구조로만 되어 있음
=> 분석가가 원한다면 GA4에서도 매개변수(값) 이용해 UA처럼 구현할 수 있음
3.3 측정기준과 측정항목: 디멘션과 메트릭
❗메뉴 경로: 획득 > 전체 트래픽 > 소스/매체
- 측정 기준: 분석을 위해 나누는 기준(1)
=> ex. 유치원생, 초등학생, 중학생, 고등학생, 대학생을 담고 있는 구분 - 측정 항목: 측정 기준에 대한 수치 항목(2)
=> ex. 수치를 담고 있는 평균 키, 평균 몸무게, 평균 발 크기
측정 기준
- 측정 기준: 데이터를 분석하는 기준(1)
🔖 예시
네이버와 구글로 접속한 사용자를 확인하고자 한다!
=> 유입 원천을 구분하려면 소스 라는 측정 기준 이용
=> 유입 방법을 알기위해 매체 이용측정 기준을 바꾸고 싶다면 ‘2’ 메뉴에서 다른 측정기준을 선택.(2024년 버전에선 살짝 메뉴 모양이 바뀐듯. 잘 찾아보세요!)
보조 측정기준
- [기본 측정기준]에 ‘그리고’ 기준으로 적용.
- 깊이 있는 분석 가능
❗측정 기준을 3개 이상 적용하고 싶다면 탐색 분석 기능 이용
❗맞춤 측정기준: 기본으로 제공하는 측정기준 외에 분석가가 분석 목표에 따라 수동으로 생성해서 사용하는 측정 기준.
측정 항목
- GA 보고서는 측정기준에 가장 잘 어울리는 측정항목의 조합을 미리 만들어 놓음.(아래에선 사용자 등)
- 분석가는 측정기준을 측정항목과 교차해 보면서 세부적인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.
3.4 콘텐츠 그룹: 페이지 특성별로 그룹화한 페이지
❗메뉴 경로: 보고서 > 참여도 > 페이지 및 화면
❗책에서는 UA에서 콘텐츠 그룹을 만드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. 하지만 현재 UA는 서비스를 종료하였으므로 GA4와 UA의 비교와 개념 숙지에 의의를 두고 내용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.
- 콘텐츠 그룹: 웹 사이트의 페이지를 성격에 맞게 묶어 놓은 것.
- ‘행동 흐름 보고서’에서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.
- GA4에서는 매개변수를 응용해서 콘텐츠 그룹을 제작해야 함.
🔖 UA와 GA4 비교
구분 | UA(GA3) | GA4 |
---|---|---|
콘텐츠 그룹 구조 | 5개의 콘텐츠 그룹 구조 | 1개 콘텐츠 그룹 구조 |
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.0 by the author.